>1. SPP propagation 방향이 x축이라고 할때 w0(resonance
>frequency)에 대해 다양한 wave number k_x가 존재하고, 그 유한한 k(k^2=k_x^2+k_y^2+k_x^2)에 대해 k_x의 값이 커질 수록
>k_y, k_z의 값이 작아지므로 결과적으로 x 축에대한 confinement가 좋아 질 수 밖에 없다. 즉 y,z방향에 대한 radiationg이 줄어든다. => Strongy localization을 이렇게 해석해도 되는걸까요?
Strongly localization에서 구태여 strong을 쓴 이유는 모르겠지만, localization은 surface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 (z방향)에 대해 evanescently decaying한다는 의미로 쓰는 것 같고, 이 경우는 bounded라는 표현이 쓰이고 있는것 같습니다.
localized SP는, 일반적인 평판 구조 보다는 metal sphere같이, 사방으로 다 갇혀 있는 경우에 대해 한정해서 쓰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.
또한, SP가 있다고 해서 다 bounded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, 오히려 bounded되기 위한 조건이 kz^2이 음수여야 한다는 조건으로 나타나게 됩니다.
>frequency)에 대해 다양한 wave number k_x가 존재하고, 그 유한한 k(k^2=k_x^2+k_y^2+k_x^2)에 대해 k_x의 값이 커질 수록
>k_y, k_z의 값이 작아지므로 결과적으로 x 축에대한 confinement가 좋아 질 수 밖에 없다. 즉 y,z방향에 대한 radiationg이 줄어든다. => Strongy localization을 이렇게 해석해도 되는걸까요?
Strongly localization에서 구태여 strong을 쓴 이유는 모르겠지만, localization은 surface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 (z방향)에 대해 evanescently decaying한다는 의미로 쓰는 것 같고, 이 경우는 bounded라는 표현이 쓰이고 있는것 같습니다.
localized SP는, 일반적인 평판 구조 보다는 metal sphere같이, 사방으로 다 갇혀 있는 경우에 대해 한정해서 쓰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.
또한, SP가 있다고 해서 다 bounded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, 오히려 bounded되기 위한 조건이 kz^2이 음수여야 한다는 조건으로 나타나게 됩니다.
댓글 0
| 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|---|---|---|---|---|
| 70 |
High-resolution pictures (OSA Student chapter)
| 관리자 | 2015.04.15 | 3253 |
| 69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5
| 김휘 | 2010.10.27 | 17583 |
| 68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4
| 김휘 | 2010.10.27 | 18282 |
| 67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3
| 김휘 | 2010.10.27 | 18199 |
| 66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2
| 김휘 | 2010.10.27 | 18370 |
| 65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1
| 김휘 | 2010.10.27 | 18389 |
| 64 | [Tip] 논문용 figure 만들기 | 이일민 | 2010.07.02 | 23114 |
| 63 |
메시 급 선수들...
| 김휘 | 2010.06.21 | 18828 |
| 62 |
indirect_interband_transition_ring_resonator#3
| 김휘 | 2010.05.18 | 18409 |
| 61 |
indirect_interabd_transition_ring_resonator#1-#2
| 김휘 | 2010.05.18 | 172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