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단 4번 질문에 대한 나의 답..
물리적으로는 Charge density가 oscillation할려면
입사하는 광파의 Electric field가
메탈의 conduction band에 존재하는 전자들을
driving 해야 하는데 TM 필드로 경계면에 입사해야
그렇게 됨 경계면에 대한 그림을 그려보세요
그리고 메탈-유전체의 경계에서 Homogeneous solution(광파의
입사없는 상태에서의 고유해)이존재해야하는데
TE일 경우에는 해가존재하지 않음
경계조건과 맥스웰 방정식을 TE에 적용하면 반사파가 반드시
존재하여야 두가지 모드를 만족 할 수 있음.
얼마전에 s-polarization에 대해서도 surface plasmon이
excitation이 될수 있는 경우에 대한 논문을 보았는데
아직 자세히 읽어보지 못해서..^^ 언급은 생략
그래도 일반적인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.
물리적으로는 Charge density가 oscillation할려면
입사하는 광파의 Electric field가
메탈의 conduction band에 존재하는 전자들을
driving 해야 하는데 TM 필드로 경계면에 입사해야
그렇게 됨 경계면에 대한 그림을 그려보세요
그리고 메탈-유전체의 경계에서 Homogeneous solution(광파의
입사없는 상태에서의 고유해)이존재해야하는데
TE일 경우에는 해가존재하지 않음
경계조건과 맥스웰 방정식을 TE에 적용하면 반사파가 반드시
존재하여야 두가지 모드를 만족 할 수 있음.
얼마전에 s-polarization에 대해서도 surface plasmon이
excitation이 될수 있는 경우에 대한 논문을 보았는데
아직 자세히 읽어보지 못해서..^^ 언급은 생략
그래도 일반적인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.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70 |
High-resolution pictures (OSA Student chapter)
![]() | 관리자 | 2015.04.15 | 3136 |
69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5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7468 |
68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4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184 |
67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3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095 |
66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2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273 |
65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1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275 |
64 | [Tip] 논문용 figure 만들기 | 이일민 | 2010.07.02 | 22954 |
63 |
메시 급 선수들...
![]() | 김휘 | 2010.06.21 | 18698 |
62 |
indirect_interband_transition_ring_resonator#3
![]() | 김휘 | 2010.05.18 | 18317 |
61 |
indirect_interabd_transition_ring_resonator#1-#2
![]() | 김휘 | 2010.05.18 | 171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