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가 surface plasmon이
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을 잘 못 잡고 있다가 어제 비로서야 유명한 dispersion relation 그림을 보고 그 개념을 조금 이나마 정리 할 수 있었습니다.
대략 정리해 보면
1. SPP propagation 방향이 x축이라고 할때 w0(resonance
frequency)에 대해 다양한 wave number k_x가 존재하고, 그 유한한 k(k^2=k_x^2+k_y^2+k_x^2)에 대해 k_x의 값이 커질 수록
k_y, k_z의 값이 작아지므로 결과적으로 x 축에대한 confinement가 좋아 질 수 밖에 없다. 즉 y,z방향에 대한 radiationg이 줄어든다. => Strongy localization을 이렇게 해석해도 되는걸까요?
2. dw/dk가 의미하는것이 group velocity이므로 Surface plasmon의 속도는 free space의 빛의 속도보다 작다. 이는 표면 전자의 운동에 있어서의 반응 속도와 관련이 있는 듯 합니다.=>이를 Slow light의 의미로 이해해도 되는 걸까요?
3. SPP를 Sub wavelength scaled의 structure에서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free space의 wave가 structure로 excitation될때 k_x의 값에 따라서 wavelength=2*pi/k_x( k_x=(대략)k )가의 modulation이 걸리게 되어서 그런건가요? freespace 에서의 wave length가 1000nm일때 diffraction limit때문에 빛을 이용한 어떤 구조물을 만들때 1000nm이상이 되어야 했는데, SPP 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1000nm의 diffraction limit을 극복 할 수 있느냐의 질문입니다.
4. 왜 TM 밖에 존재할 수 없는 걸까요?
ㅎㅎㅎ
너무나 초보적인 질문 죄송합니다.~
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을 잘 못 잡고 있다가 어제 비로서야 유명한 dispersion relation 그림을 보고 그 개념을 조금 이나마 정리 할 수 있었습니다.
대략 정리해 보면
1. SPP propagation 방향이 x축이라고 할때 w0(resonance
frequency)에 대해 다양한 wave number k_x가 존재하고, 그 유한한 k(k^2=k_x^2+k_y^2+k_x^2)에 대해 k_x의 값이 커질 수록
k_y, k_z의 값이 작아지므로 결과적으로 x 축에대한 confinement가 좋아 질 수 밖에 없다. 즉 y,z방향에 대한 radiationg이 줄어든다. => Strongy localization을 이렇게 해석해도 되는걸까요?
2. dw/dk가 의미하는것이 group velocity이므로 Surface plasmon의 속도는 free space의 빛의 속도보다 작다. 이는 표면 전자의 운동에 있어서의 반응 속도와 관련이 있는 듯 합니다.=>이를 Slow light의 의미로 이해해도 되는 걸까요?
3. SPP를 Sub wavelength scaled의 structure에서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free space의 wave가 structure로 excitation될때 k_x의 값에 따라서 wavelength=2*pi/k_x( k_x=(대략)k )가의 modulation이 걸리게 되어서 그런건가요? freespace 에서의 wave length가 1000nm일때 diffraction limit때문에 빛을 이용한 어떤 구조물을 만들때 1000nm이상이 되어야 했는데, SPP 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1000nm의 diffraction limit을 극복 할 수 있느냐의 질문입니다.
4. 왜 TM 밖에 존재할 수 없는 걸까요?
ㅎㅎㅎ
너무나 초보적인 질문 죄송합니다.~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10 | [re] 4번 질문에 대하여 | 용 | 2007.04.21 | 13056 |
9 | IP에서의 Real Orthoscopic | 정재현 | 2007.04.21 | 14959 |
8 | lenticular와 IP의 차이 | 강진모 | 2007.04.21 | 14675 |
7 | 3D display에서 width와 FOV | 준 | 2007.04.21 | 13109 |
6 | 두개의 optical resonator의 상호 커플링 | 김휘 | 2007.04.21 | 14187 |
» | SPR에서 subwavelength 에 대한 개념에 대한 질문 | 한재훈 | 2007.04.21 | 13371 |
4 | 마찬가지로.. 용어 통일... surface wave, Zenneck wave, plasmons, polariton... | 현 | 2007.04.21 | 14118 |
3 | SP, SPR, SPP, SPPs 등의 용어 사용을 정확하게... | 현 | 2007.04.21 | 14326 |
2 | SPPs waveguide 에서도 V parameter 개념이 있을까요? | 현 | 2007.04.21 | 13229 |
1 | [관리자 공지 사항] "Seminar 게시판" 운영 관리 | 관리자 | 2007.04.20 | 1595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