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f 구조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의 경우
디스플레이의 폭은
f*pixelpitch/lambda 이고
FOV는
2*atan(pixelpitch*pixelnumber/(2*f))
=pixelpitch*pixelnumber/f 입니다.
따라서 f 가 커지면 폭이 늘고 FOV가 줄고
반대로 f 가 줄면 폭이 줄고 FOV가 늘고
둘다 늘릴 방법이 없습니다.
하지만 directional emission 3D display에서는
그런 한계가 없지 않나요?
오히려 planer resolution과 angular resolution간의 관계만
중요시 하고 있습니다.
뭔가 둘사이에 관계가 있을거 같은데.....
coherent-> incoherent로 넘어가면서
Hologram-> SMV가 되는 분기점 같은게....
관심있는 사람은 함께 고민해 보죠... ^^;;;
디스플레이의 폭은
f*pixelpitch/lambda 이고
FOV는
2*atan(pixelpitch*pixelnumber/(2*f))
=pixelpitch*pixelnumber/f 입니다.
따라서 f 가 커지면 폭이 늘고 FOV가 줄고
반대로 f 가 줄면 폭이 줄고 FOV가 늘고
둘다 늘릴 방법이 없습니다.
하지만 directional emission 3D display에서는
그런 한계가 없지 않나요?
오히려 planer resolution과 angular resolution간의 관계만
중요시 하고 있습니다.
뭔가 둘사이에 관계가 있을거 같은데.....
coherent-> incoherent로 넘어가면서
Hologram-> SMV가 되는 분기점 같은게....
관심있는 사람은 함께 고민해 보죠... ^^;;;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70 |
High-resolution pictures (OSA Student chapter)
![]() | 관리자 | 2015.04.15 | 3172 |
69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5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7492 |
68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4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203 |
67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3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114 |
66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2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286 |
65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1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300 |
64 | [Tip] 논문용 figure 만들기 | 이일민 | 2010.07.02 | 23002 |
63 |
메시 급 선수들...
![]() | 김휘 | 2010.06.21 | 18741 |
62 |
indirect_interband_transition_ring_resonator#3
![]() | 김휘 | 2010.05.18 | 18330 |
61 |
indirect_interabd_transition_ring_resonator#1-#2
![]() | 김휘 | 2010.05.18 | 1714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