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현이가 비슷한 범주의 질문을 하나 올리기는 했는데, 일단 질문 해 봅니다.
1. 이차원 metal slab 구조에서 slab의 위 아래의 dielectric constant가 동일한 경우를 symmetric structure, 위 아래의 dielectric constant가 다른 경우를 asymmetric structure라 할 때, 이 때, 알려져 있기를, symmetric structure에서는 bound SP mode의 cutoff가 존재하지 않고, asymmetric structure에서는 cutoff가 존재한다고 합니다.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?
2. 이번에는 3차원으로 확장하여 metal nano wire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할 때, 이 경우에는 SPP는 lowest-order TM01 mode뿐이라고 합니다.(*) slab에서는 symmetric, anti-symmetric mode가 존재 하는데, cylindrical wire에서는 왜 mode가 하나일까요?
3. 위 문제에서 wire의 반지름이 증가하면 mode의 수가 증가 할까요?
(정현 질문과 거의 같지만...)
(*) PRB 74 115125 ('06)
1. 이차원 metal slab 구조에서 slab의 위 아래의 dielectric constant가 동일한 경우를 symmetric structure, 위 아래의 dielectric constant가 다른 경우를 asymmetric structure라 할 때, 이 때, 알려져 있기를, symmetric structure에서는 bound SP mode의 cutoff가 존재하지 않고, asymmetric structure에서는 cutoff가 존재한다고 합니다.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?
2. 이번에는 3차원으로 확장하여 metal nano wire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할 때, 이 경우에는 SPP는 lowest-order TM01 mode뿐이라고 합니다.(*) slab에서는 symmetric, anti-symmetric mode가 존재 하는데, cylindrical wire에서는 왜 mode가 하나일까요?
3. 위 문제에서 wire의 반지름이 증가하면 mode의 수가 증가 할까요?
(정현 질문과 거의 같지만...)
(*) PRB 74 115125 ('06)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70 |
High-resolution pictures (OSA Student chapter)
![]() | 관리자 | 2015.04.15 | 3141 |
69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5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7475 |
68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4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190 |
67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3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099 |
66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2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279 |
65 |
A Study on Dyadic Green function by H. Kim & S. Oh#1
![]() | 김휘 | 2010.10.27 | 18285 |
64 | [Tip] 논문용 figure 만들기 | 이일민 | 2010.07.02 | 22966 |
63 |
메시 급 선수들...
![]() | 김휘 | 2010.06.21 | 18706 |
62 |
indirect_interband_transition_ring_resonator#3
![]() | 김휘 | 2010.05.18 | 18321 |
61 |
indirect_interabd_transition_ring_resonator#1-#2
![]() | 김휘 | 2010.05.18 | 171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