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2.09.19 08:07
부탁을 받아 내가 이번주 목요일에 발표한다.
---------------
완전한 입체영상을 향하여
¾ 연 사 : 이병호 교수 (서울대 전기.정보공학부)
¾ 일 시 : 2012년 9월 20일 (목) 오후 5:00~6:00
¾ 장 소 : 서울대학교 301동(신공학관) 102호
Abstract:
3D 디스플레이 기술의 역사는 170년이 넘는 만큼, 다양한 기술들이 고안되어 왔고 최근에는 안경식 방식의 3D TV가 상용화되었다. 하지만 아직 공상과학영화에서 보는 것과 같은 완전한 3차원 동영상을 무안경식으로 구현하는 것은 어렵다. 본 발표에서는 이의 구현을 위한 최근의 기술들, 특히 집적영상 기술과 홀로그래피 기술을 소개한다. 뿐만 아니라, 극장에 이용될 수 있는 전면 투사식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방식과 See-through/3D 방식 등을 이용한 증강현실과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기술의 가능성을 살펴본다. 그 외에도, 인코히어런트 영상으로부터 홀로그램을 만드는 방법, 홀로그패픽 마이크로스코피, Transport of Intensity Equation을 이용하여 파면을 재생하는 방법 등 재미있는 연구주제들을 소개한다.
Biography:
l 학 력
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(1987), 석사(1989)
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, EECS, Ph.D. (1993)
l 경 력
1994년 9월 ~ 현재. 서울대학교 전기.정보공학부 전임강사, 조교수, 부교수, 교수
현재: 미국광학회(OSA)의 회원 및 교육서비스 위원회(MES Council) 위원장, 기획위원(SPC),
홀로그래피 및 회절광학 기술위원회(TG) 위원장.
현재: 창의연구단 (액티브 플라즈모닉스 응용시스템) 단장.
기타(역임): OSA 이사(Board of Directors),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의 Tate medal 위원,
Applied Optics 편집위원,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편집위원,
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편집위원장 등.
수상경력: OSA Fellow (2005), SPIE Fellow (2002),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(2011),
이달의 과학기술자상 (2009년 9월), 한국광학회 학술상 (2006),
서울대 신양공학 학술상 (2005), 제5회 젊은과학자상 (2002) 등.
방문교수 경력: Stanford University 등 6개 대학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3979 | FiO의 Holography and Diffractive Optics Technical Group meeting | 이병호 | 2012.09.27 | 8586 |
3978 | Call for papers - DHIP 2012 | 이병호 | 2012.09.26 | 8717 |
3977 | IMID 비즈니스 포럼 | 이병호 | 2012.09.26 | 9023 |
3976 | 제238차 그룹미팅 | 최다운 | 2012.09.24 | 6667 |
3975 | 장춘에서 2 | 이병호 | 2012.09.19 | 7219 |
3974 | 세미나 안내 - 금요일 오전 10시, Dolby | 이병호 | 2012.09.19 | 9164 |
» | 4과 세미나 | 이병호 | 2012.09.19 | 6984 |
3972 | 홀로그래피 기고문 | 이병호 | 2012.09.18 | 8056 |
3971 | 장춘에서 | 이병호 | 2012.09.17 | 7470 |
3970 | 제237차 그룹미팅 (날짜, 시간변경) | 최다운 | 2012.09.13 | 6877 |